카테고리 없음
CJ대한통운 -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리포트주방장
2021. 5. 10. 08:03
728x90
오늘 신한금융투자에서 나온 CJ대한통운 리포트 입니다.
1분기 영업이익 481억원(-17.3% YoY), 컨센서스 26.1% 하회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7조원(+7.0%, 이하 YoY), 영업이익 481억원(-17.3%)을 기록했다. 컨센서스 영업이익 652억원을 26.1% 하회했다. CL부문은 매출액 0.6조원(+0.1%), 영업이익 238억원(-11.8%)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 기조에도 저수익 고객사 정리, 자항선 사업 철수로 매출액 성장이 더뎠다. 영업이익은 복리후생비 회계 계정 변경(기타비용?판관비)으로 감소했다.
글로벌부문은 매출액 1.1조원(+13.5%), 영업이익 101억원(흑자전환)을 시현했다. 동남아 지역 수요 정상화, 글로벌 물동량 증가, 항공/해상 운임 상승분 판가전이로 실적이 개선됐다.
택배부문은 매출액 8,272억원(+13.6%), 영업이익 164억원(-53.7%)을 기록했다. 2020년 1~2월 낮은 기저 영향으로 물량은 4.4억박스(+12.7%)로 증가했다. 0.8%의 단가 인상에도 50% 대의 점유율이 유지되고 있다. 영업이익은 1) 분류 인력 추가 투입(80억원), 2) 회계 변경(80억원), 3) E커머스 초기 투자 비용(31억원)이 발생해 부진했다.
택배부문 2분기부터 점진적인 수익성 개선 예상
박스당 200원(10.5%)의 판가 인상 효과는 2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4월부터 고객사들과 가격 협상을 하고 있다. 모든 택배 회사들이 처리 용량에 대한 여유가 없는 상황으로 단가 인상은 점유율 하락을 야기하지 않을 전망이다. 분류인력 추가 투입에 따른 1분기 부진한 실적은 2분기부터 개선이 예상된다.
목표주가 200,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00,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12개월 선행 EPS 9,409원에 Target PER 20.7배(글로벌피어 2021년 평균 PER)를 적용했다. 2020년 높은 기저로 택배부문 물량 성장률은 전년대비 7.1% 성장하는데 그칠 전망이다. 2분기 택배단가 인상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를 기다려 봐야하는 시점이다.
CJ대한통운 추천 리포트 다운로드 링크
최신 리포트 앱으로 보기!!
CJ대한통운 - 2분기 단가 인상을 기다려보자 - 신한금융투자
1분기 영업이익 481억원(-17.3% YoY), 컨센서스 26.1% 하회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7조원(+7.0%, 이하 YoY), 영업이익 481억원(-17.3%)을 기록했다. 컨센서스 영업이익 652억원을 26.1% 하회했다. CL부문은 매출액 0.6조원(+0.1%), 영업이익 238억원(-11.8%)을 기록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 기조에도 저수익 고객사 정리, 자항선 사업 철수로 매출액 성장이 더뎠다. 영업이익은 복리후생비 회계 계정 변경(기타비용?판관비)으로 감소했다.
글로벌부문은 매출액 1.1조원(+13.5%), 영업이익 101억원(흑자전환)을 시현했다. 동남아 지역 수요 정상화, 글로벌 물동량 증가, 항공/해상 운임 상승분 판가전이로 실적이 개선됐다.
택배부문은 매출액 8,272억원(+13.6%), 영업이익 164억원(-53.7%)을 기록했다. 2020년 1~2월 낮은 기저 영향으로 물량은 4.4억박스(+12.7%)로 증가했다. 0.8%의 단가 인상에도 50% 대의 점유율이 유지되고 있다. 영업이익은 1) 분류 인력 추가 투입(80억원), 2) 회계 변경(80억원), 3) E커머스 초기 투자 비용(31억원)이 발생해 부진했다.
택배부문 2분기부터 점진적인 수익성 개선 예상
박스당 200원(10.5%)의 판가 인상 효과는 2분기부터 점진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4월부터 고객사들과 가격 협상을 하고 있다. 모든 택배 회사들이 처리 용량에 대한 여유가 없는 상황으로 단가 인상은 점유율 하락을 야기하지 않을 전망이다. 분류인력 추가 투입에 따른 1분기 부진한 실적은 2분기부터 개선이 예상된다.
목표주가 200,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200,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12개월 선행 EPS 9,409원에 Target PER 20.7배(글로벌피어 2021년 평균 PER)를 적용했다. 2020년 높은 기저로 택배부문 물량 성장률은 전년대비 7.1% 성장하는데 그칠 전망이다. 2분기 택배단가 인상에 따른 수익성 개선 효과를 기다려 봐야하는 시점이다.
CJ대한통운 추천 리포트 다운로드 링크
최신 리포트 앱으로 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