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 이베스트증권에서 나온 한샘 리포트 입니다.
목재 가격 상승으로 마진 감소되나, 우려 대비 견조한 수준 예상 한샘의 2 분기 매출액은 5,690 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6% 증가,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251 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0% 증가, 컨센서스 영업이익 278 억원 대비 9.6% 하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비수기에도 탑라인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판단하나, 금번 분기 이익의 경우는 목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마진율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샘 가구의 원재료가 되는 PB 와 MDF 원재료 비중은 35% 수준이다. 대한목재협회가 발표한 4 월 수입목재가격은 7.2% YoY 증가했으며, PB 의 경우 2018~2020 년 1 매당 8,000 원 수준이었으나 올해 13,000 원까지 62.5%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한샘의 이익 훼손에 대한 우려가 큰 실정이었으나, 언론 보도상 한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가구 업체들이 이러한 원가 상승분을 판가로 전이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 상승폭 대비 마진율 방어가 비교적 나타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있다. 한샘 역시 일부 품목별 평균 4~5% 수준의 가격 상승이 있었고, 2020 년 초반에 가구 부문 M/S 확대를 위한 파격적인 가격 할인을 단행했기 때문에 하반기 추가적인 판가 인상의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20210709_한샘_2Q21+Preview_김세련]김세련_179_Online+report+_+6_10p_한샘
한샘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최신 리포트 앱으로 보기!!
한샘 - 2Q21 Preview: 판가 전이의 확인 - 이베스트증권 (목표가 : 160000원)
목재 가격 상승으로 마진 감소되나, 우려 대비 견조한 수준 예상 한샘의 2 분기 매출액은 5,690 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6% 증가, 컨센서스에 부합할 전망이다. 다만 영업이익은 251 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0% 증가, 컨센서스 영업이익 278 억원 대비 9.6% 하회할 것으로 전망한다. 비수기에도 탑라인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판단하나, 금번 분기 이익의 경우는 목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마진율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샘 가구의 원재료가 되는 PB 와 MDF 원재료 비중은 35% 수준이다. 대한목재협회가 발표한 4 월 수입목재가격은 7.2% YoY 증가했으며, PB 의 경우 2018~2020 년 1 매당 8,000 원 수준이었으나 올해 13,000 원까지 62.5%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한샘의 이익 훼손에 대한 우려가 큰 실정이었으나, 언론 보도상 한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가구 업체들이 이러한 원가 상승분을 판가로 전이하고 있기 때문에 원가 상승폭 대비 마진율 방어가 비교적 나타날 수 있음을 기대하고 있다. 한샘 역시 일부 품목별 평균 4~5% 수준의 가격 상승이 있었고, 2020 년 초반에 가구 부문 M/S 확대를 위한 파격적인 가격 할인을 단행했기 때문에 하반기 추가적인 판가 인상의 여지가 높다는 판단이다. [20210709_한샘_2Q21+Preview_김세련]김세련_179_Online+report+_+6_10p_한샘
한샘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최신 리포트 앱으로 보기!!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