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 발행된 증권사별 추천 종목 입니다!!
공부 열심히 해서 성투 하자구요!!
2분기 영업이익 19억원, 흑자전환 전망
2분기 매출액 322억원(+157%, 이하 YoY), 영업이익 19억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 RF와 반도체 장비 모두 인상적인 회복세가 예상된다.
RF 매출은 201억원(+170%)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4월부터 버라이즌으로 5G 제품을 본격 인도하기 시작했다. 관련 벤더들이 올해 초까지 받은 PO는 선생산용 물량이다. 제품 본격 인도와 함께 벤더들의 공급 물량도 대폭 증가할 예정이다. 동사의 경우 3~4월부터 가파른 물량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
반도체 장비 매출은 121억원(+284%)으로 예상된다. 동사는 5월까지 서울반도체와 2차례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분기와 하반기에 걸쳐 매출로 인식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향 나노 임프린터 1호 장비도 6월 인도를 앞두고 있다. 기존 장비에 신규 장비 매출까지 더해진다.
21년 영업이익 174억원 전망(20년 영업이익 -144억원)
21년 매출액 1,443억원(+167%), 영업이익 170억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 버라이즌향 공급이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캐나다 텔러스향 초도 양산도 당초 4월대비 앞당겨 2월부터 시작됐다. 하반기부터 물량 증대가 기대된다. 올해 추가적으로 공급을 기대할 수 있는 지역은 1) 국내와 2) 인도다. 코로나가 심한 인도는 배제하더라도, 국내는 통신사들의 장비 플랫폼 변화와 맞물려 투자 재개 가능성이 있다.
반도체 장비도 긍정적인 동향이 확인된다. 미니LED 수요 증가로 고객사의 식각장비 발주가 늘고 있다. 5월에 이어 하반기 추가 발주가 예상된다. 나노 임프린터 장비의 고객사 내 확대 채택도 기대된다.
목표주가 3,000원으로 상향, 실적 추정치 추가 상향 가능성↑
직전대비 실적 추정치를 상향했으나 여전히 보수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확정적인 공급처 외에는 추정치에 반영되지 않았다. 6월 이후 확인되는 동향에 따라 추정치 추가 상향 가능성도 다분하다.
2분기를 기점으로 21년 실적 개선에 대한 가시성이 명확해질 전망이다. 실적과 주가 모두 반등 포인트가 가까워지고 있다.
기가레인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글로벌 브랜드 수주로 제조경쟁력 입증 콜마비앤에이치가 글로벌 비타민 브랜드 센트룸의 ‘센트룸 프로’, ‘센트룸 실버 프로’, ‘센트룸 포커스에너지’ 등 3개 SKU의 국내 생산을 담당하게 됐다. 센트룸 브랜드를 보유한 GSK헬스케어는 2019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화이자의 컨슈머헬스케어 사업 합병회사로 해당 SKU는 기존에 대만 화이자에서 생산을 담당해 왔다. 2019년 기준 센트롬 국내 매출액은 약 1,5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사업현황 업데이트
콜마비앤에이치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1Q21 실적은 기대치 소폭 하회 한온시스템의 2021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은 1.87조원(+12% yoy), 영업이익은 940억원(+58% yoy), 영업이익률은 5.0%(+1.4%p yoy)를 기록했다.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소폭(-4%) 하회한 실적이었다. 지역별 매출액은 아시아/미주/유럽 등에서 각각 +33%/-8%/-0.1%를 기록했고, 영업이익률은 아시아, 북미, 유럽 각각 3.6%(+1.8%p yoy), 2.3%(-2.6%p yoy), 3.8%(+0.8%p yoy)를 기록했다.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기저효과가 크게 반영된 반면 미주와 유럽지역은 일부 메이커의 차량용 반도체 관련 생산 차질과 운송비 증가 등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친환경 열관리시스템 강자의 주인찾기 진행 중
한온시스템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2분기: 저점 통과 중 / 3분기: 과거 12개 분기 기준, 최대실적
2Q21 영업이익은 3,005억원(+192%, 이하 YoY)으로 컨센서스(2,899억원)를 소폭 상회할 전망이다.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환경 영향이다. 2분기는 제조사(고객사)들의 시스템반도체 조달 차질과 스마트폰 감산으로 잠시 쉬어가는 시기다. 3분기부터는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증산이 유력하다. 반도체 조달 상황의 개선과 성수기 진입 효과다. 3분기에는 영업이익 3,505억원(+14%)으로 성장이 재개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하반기 수요와 OPPO, VIVO, Xiaomi의 재고조정(또는 주문 하향조정) 우려가 확대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부품사들의 중국 제조사향 부품 주문 조정은 우려만큼 크지 않다고 파악된다.
중장기 방향성: 패키징기판 호황, MLCC 방향성, 신사업
2021년 영업이익 추정치는 1.3조원(+58%)으로 여전히 긍정적이다.
① MLCC 가격(Blended ASP) 및 수익성은 완만하게 상승 중이다. 공급사들은 여전히 보수적으로 캐파(생산능력)를 증설 중이다. 21년 증설 규모는 전년대비 약 10% 수준으로 공급 제약이 지속될 전망이다.
② 패키징기판의 공급부족 상황은 FCBGA에서 FCCSP와 SiP로 확대되고 있다. 삼성전기는 현재 국내 유일한 FCBGA 공급사인 동시에 글로벌 FCCSP 산업 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유한 선두권 업체다. 직간접적으로 패키징기판 생산능력을 증설 중인 동향이 포착된다.
③ 통신부품과 전장부품의 매출 증가세는 다소 미진하다. 신사업에 대한 자본시장의 기대도 낮아졌다. 그러나 증가 속도의 문제이고, 중장기 성장 방향성은 명확하다. 5G와 전기차/자율주행 때문이다.
목표주가 227,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21년 BPS에 18년(과거 MLCC 호황)의 고점 PBR 2.67배를 반영해 산출했다. ① MLCC는 공급사가 제한적이다. 범용 부품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완만한 가격 상승 흐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② 통신부품과 전장부품 등 신사업의 가능성은 사라지지 않았다. 낮아진 기대감을 고려하면 현재가 기회일 수 있다. 매수의견을 유지한다.
삼성전기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에코프로의 환경사업부문 인적분할 에코프로HN 은 5 월 1 일 이 분할기일로 에코프로의 유해가스저감장치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환경사업부문을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신설된 회사로 4 월 29 일 ~5 월27 일 거래정지기간을 통해 5 월 28 일 재상장이 진행 진짜 ESG에 딱 맞는 기업 입성
에코프로에이치엔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염소 부문 2018년 초 호황 재현 전망 ECH/가성소다를 중심으로 한 염소 부문이 2018년 호황기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ECH/가성소다 강세에 구조적인 요인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ECH의 전방 에폭시는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 주택시장 호황, 선박발주 증가 등으로 유례없는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가성소다는 중국 제조업 경기 확장에 따른 최대 전방 알루미나수요 호조 영향으로 강한 성장이 기대된다. The Greener, The Greater
롯데정밀화학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올해 1분기말 수주잔고 5.1억 달러로 전년대비 65% 증가 한국카본의 올해 1분기말 수주잔고는 5.1억 달러로 지난해 1분기 3.1억 달러에 비해 65% 증가되었다. 2017년 11월부터 시작된 글로벌 LNG선 발주시황 성장의 수혜로 한국카본의 수주잔고는 시차를 두고 최근 1년사이 부쩍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주잔량은 1년만에 65% 증가
한국카본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말레이시아 법인 수익성 개선 지속 배터리 및 PCB 동박 제조 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는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배터리용 동박 부문(I2B) 증설을 진행 중이다. 2020년 상반기에는 라인 가동 초기 수율 저하 및 COVID-19에 따른 말레이시아 인력 이동 문제로 수익성 훼손됐으나 2020년 하반기부터 수익성 개선세가 뚜렷하다. 말레이시아 법인 수익성 개선 지속
일진머티리얼즈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목표주가 62,000원, 투자의견 매수 제시 SGC에너지 목표주가 62,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한다. 목표주가는 2021년 예상 BPS에 PBR 1.4배를 적용해 산출했다. 2020년 삼광글라스/이테크건설/군장에너지 분할/합병으로 출범한 사업형 지주사다. 집단에너지사업과 연결회사 SGC이테크건설의 이익기여도가 높다. 2023년까지 꾸준한 성장 기대
SGC에너지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공부 열심히 해서 성투 하자구요!!
기가레인 - NDR 후기: 두근두근 2분기 - 신한금융투자
2분기 영업이익 19억원, 흑자전환 전망
2분기 매출액 322억원(+157%, 이하 YoY), 영업이익 19억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 RF와 반도체 장비 모두 인상적인 회복세가 예상된다.
RF 매출은 201억원(+170%)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는 4월부터 버라이즌으로 5G 제품을 본격 인도하기 시작했다. 관련 벤더들이 올해 초까지 받은 PO는 선생산용 물량이다. 제품 본격 인도와 함께 벤더들의 공급 물량도 대폭 증가할 예정이다. 동사의 경우 3~4월부터 가파른 물량 증가가 확인되고 있다.
반도체 장비 매출은 121억원(+284%)으로 예상된다. 동사는 5월까지 서울반도체와 2차례 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분기와 하반기에 걸쳐 매출로 인식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체향 나노 임프린터 1호 장비도 6월 인도를 앞두고 있다. 기존 장비에 신규 장비 매출까지 더해진다.
21년 영업이익 174억원 전망(20년 영업이익 -144억원)
21년 매출액 1,443억원(+167%), 영업이익 170억원(흑자전환)을 전망한다. 버라이즌향 공급이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캐나다 텔러스향 초도 양산도 당초 4월대비 앞당겨 2월부터 시작됐다. 하반기부터 물량 증대가 기대된다. 올해 추가적으로 공급을 기대할 수 있는 지역은 1) 국내와 2) 인도다. 코로나가 심한 인도는 배제하더라도, 국내는 통신사들의 장비 플랫폼 변화와 맞물려 투자 재개 가능성이 있다.
반도체 장비도 긍정적인 동향이 확인된다. 미니LED 수요 증가로 고객사의 식각장비 발주가 늘고 있다. 5월에 이어 하반기 추가 발주가 예상된다. 나노 임프린터 장비의 고객사 내 확대 채택도 기대된다.
목표주가 3,000원으로 상향, 실적 추정치 추가 상향 가능성↑
직전대비 실적 추정치를 상향했으나 여전히 보수적인 수준이라고 판단한다. 확정적인 공급처 외에는 추정치에 반영되지 않았다. 6월 이후 확인되는 동향에 따라 추정치 추가 상향 가능성도 다분하다.
2분기를 기점으로 21년 실적 개선에 대한 가시성이 명확해질 전망이다. 실적과 주가 모두 반등 포인트가 가까워지고 있다.
기가레인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콜마비앤에이치 - 사업현황 업데이트 - 이베스트증권 (목표가 : 66000원)
글로벌 브랜드 수주로 제조경쟁력 입증 콜마비앤에이치가 글로벌 비타민 브랜드 센트룸의 ‘센트룸 프로’, ‘센트룸 실버 프로’, ‘센트룸 포커스에너지’ 등 3개 SKU의 국내 생산을 담당하게 됐다. 센트룸 브랜드를 보유한 GSK헬스케어는 2019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과 화이자의 컨슈머헬스케어 사업 합병회사로 해당 SKU는 기존에 대만 화이자에서 생산을 담당해 왔다. 2019년 기준 센트롬 국내 매출액은 약 1,5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사업현황 업데이트
콜마비앤에이치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한온시스템 - 친환경 열관리시스템 강자의 주인찾기 진행 .. - IBK투자증권 (목표가 : 19000원)
1Q21 실적은 기대치 소폭 하회 한온시스템의 2021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은 1.87조원(+12% yoy), 영업이익은 940억원(+58% yoy), 영업이익률은 5.0%(+1.4%p yoy)를 기록했다.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를 소폭(-4%) 하회한 실적이었다. 지역별 매출액은 아시아/미주/유럽 등에서 각각 +33%/-8%/-0.1%를 기록했고, 영업이익률은 아시아, 북미, 유럽 각각 3.6%(+1.8%p yoy), 2.3%(-2.6%p yoy), 3.8%(+0.8%p yoy)를 기록했다. 한국과 중국 등 아시아 지역의 기저효과가 크게 반영된 반면 미주와 유럽지역은 일부 메이커의 차량용 반도체 관련 생산 차질과 운송비 증가 등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친환경 열관리시스템 강자의 주인찾기 진행 중
한온시스템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삼성전기 - 21년 3분기, 성장 재개 - 신한금융투자
2분기: 저점 통과 중 / 3분기: 과거 12개 분기 기준, 최대실적
2Q21 영업이익은 3,005억원(+192%, 이하 YoY)으로 컨센서스(2,899억원)를 소폭 상회할 전망이다. 우호적인 원/달러 환율 환경 영향이다. 2분기는 제조사(고객사)들의 시스템반도체 조달 차질과 스마트폰 감산으로 잠시 쉬어가는 시기다. 3분기부터는 삼성전자와 애플의 스마트폰 증산이 유력하다. 반도체 조달 상황의 개선과 성수기 진입 효과다. 3분기에는 영업이익 3,505억원(+14%)으로 성장이 재개될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하반기 수요와 OPPO, VIVO, Xiaomi의 재고조정(또는 주문 하향조정) 우려가 확대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 부품사들의 중국 제조사향 부품 주문 조정은 우려만큼 크지 않다고 파악된다.
중장기 방향성: 패키징기판 호황, MLCC 방향성, 신사업
2021년 영업이익 추정치는 1.3조원(+58%)으로 여전히 긍정적이다.
① MLCC 가격(Blended ASP) 및 수익성은 완만하게 상승 중이다. 공급사들은 여전히 보수적으로 캐파(생산능력)를 증설 중이다. 21년 증설 규모는 전년대비 약 10% 수준으로 공급 제약이 지속될 전망이다.
② 패키징기판의 공급부족 상황은 FCBGA에서 FCCSP와 SiP로 확대되고 있다. 삼성전기는 현재 국내 유일한 FCBGA 공급사인 동시에 글로벌 FCCSP 산업 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유한 선두권 업체다. 직간접적으로 패키징기판 생산능력을 증설 중인 동향이 포착된다.
③ 통신부품과 전장부품의 매출 증가세는 다소 미진하다. 신사업에 대한 자본시장의 기대도 낮아졌다. 그러나 증가 속도의 문제이고, 중장기 성장 방향성은 명확하다. 5G와 전기차/자율주행 때문이다.
목표주가 227,000원,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는 21년 BPS에 18년(과거 MLCC 호황)의 고점 PBR 2.67배를 반영해 산출했다. ① MLCC는 공급사가 제한적이다. 범용 부품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완만한 가격 상승 흐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② 통신부품과 전장부품 등 신사업의 가능성은 사라지지 않았다. 낮아진 기대감을 고려하면 현재가 기회일 수 있다. 매수의견을 유지한다.
삼성전기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에코프로에이치엔 - 진짜 ESG에 딱 맞는 기업 입성 - 교보증권
에코프로의 환경사업부문 인적분할 에코프로HN 은 5 월 1 일 이 분할기일로 에코프로의 유해가스저감장치 등을 제조 및 판매하는 환경사업부문을 인적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신설된 회사로 4 월 29 일 ~5 월27 일 거래정지기간을 통해 5 월 28 일 재상장이 진행 진짜 ESG에 딱 맞는 기업 입성
에코프로에이치엔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롯데정밀화학 - The Greener, The Greater - 하나금융투자 (목표가 : 100000원)
염소 부문 2018년 초 호황 재현 전망 ECH/가성소다를 중심으로 한 염소 부문이 2018년 호황기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시현할 것으로 전망한다. 최근 ECH/가성소다 강세에 구조적인 요인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ECH의 전방 에폭시는 글로벌 인프라 투자 확대, 주택시장 호황, 선박발주 증가 등으로 유례없는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가성소다는 중국 제조업 경기 확장에 따른 최대 전방 알루미나수요 호조 영향으로 강한 성장이 기대된다. The Greener, The Greater
롯데정밀화학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한국카본 - 수주잔량은 1년만에 65% 증가 - 하나금융투자 (목표가 : 17000원)
올해 1분기말 수주잔고 5.1억 달러로 전년대비 65% 증가 한국카본의 올해 1분기말 수주잔고는 5.1억 달러로 지난해 1분기 3.1억 달러에 비해 65% 증가되었다. 2017년 11월부터 시작된 글로벌 LNG선 발주시황 성장의 수혜로 한국카본의 수주잔고는 시차를 두고 최근 1년사이 부쩍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주잔량은 1년만에 65% 증가
한국카본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일진머티리얼즈 - 말레이시아 법인 수익성 개선 지속 - 하나금융투자 (목표가 : 88000원)
말레이시아 법인 수익성 개선 지속 배터리 및 PCB 동박 제조 업체인 일진머티리얼즈는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배터리용 동박 부문(I2B) 증설을 진행 중이다. 2020년 상반기에는 라인 가동 초기 수율 저하 및 COVID-19에 따른 말레이시아 인력 이동 문제로 수익성 훼손됐으나 2020년 하반기부터 수익성 개선세가 뚜렷하다. 말레이시아 법인 수익성 개선 지속
일진머티리얼즈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SGC에너지 - 2023년까지 꾸준한 성장 기대 - 하나금융투자 (목표가 : 62000원)
목표주가 62,000원, 투자의견 매수 제시 SGC에너지 목표주가 62,000원,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한다. 목표주가는 2021년 예상 BPS에 PBR 1.4배를 적용해 산출했다. 2020년 삼광글라스/이테크건설/군장에너지 분할/합병으로 출범한 사업형 지주사다. 집단에너지사업과 연결회사 SGC이테크건설의 이익기여도가 높다. 2023년까지 꾸준한 성장 기대
SGC에너지 추천 리포트 보러가기
728x90
댓글